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📌 갑자기 입금된 현금? 신종 ‘통장 묶기 사기’ 주의!

 

최근 “내 계좌에 현금이 들어왔다” 혹은 “새로운 카드가 발급됐다”는 연락을 받는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.
순간 기분 좋을 수 있지만, 사실은 신종 보이스피싱 수법입니다.
사기꾼들이 어떻게 계좌를 묶고, 어떤 방식으로 개인정보를 빼내는지, 그리고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정리했습니다.

 

 


1️⃣ 통장 묶기 사기

 

  • 사기꾼이 내 계좌로 소액(10만~50만 원)을 고의 입금합니다.
  • 입금 직후 금융기관에 “해당 계좌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사용됐다”는 허위 신고를 합니다.
  • 은행은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내 모든 계좌와 체크카드·신용카드를 정지시킵니다.
  • 정지된 계좌를 풀어주겠다며 사기꾼이 연락, ‘합의금’이나 ‘수수료’ 명목의 돈을 요구합니다.
  • 피해자가 돈을 주면 다시 다른 명목으로 추가 금액을 요구하는 악순환이 이어집니다.
  • 특히 사업자·자영업자는 계좌가 막히면 거래 중단·매출 피해가 발생해 더 큰 타격을 입습니다.
  • 사기꾼이 입금한 돈은 결국 ‘사기 수법의 미끼’일 뿐, 절대 건드리면 안 됩니다.

👉 핵심은 “내 계좌에 모르는 돈이 들어오면, 사용하지 말고 바로 신고해야 한다”는 점입니다.


 

 

통장 묶기 사기

 

 

2️⃣ 카드 발급·배송 사기

 

  • 사기꾼이 전화를 걸어 “새 신용카드가 발급돼 배송 중인데 고객님 맞으신가요?”라고 묻습니다.
  • 피해자가 “신청한 적 없다”고 답하면, 곧바로 위조된 은행 고객센터나 배송 업체 콜센터로 연결됩니다.
  • 이 과정에서 “본인 확인이 필요하다”는 명목으로 주민등록번호, 카드번호, 계좌번호를 요구합니다.
  • 또는 “안전을 위해 보안 앱을 설치하라”면서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.
  • 앱을 설치하면 휴대폰 내 연락처·문자·계좌 비밀번호 등 모든 금융 정보가 유출됩니다.
  • 사기꾼은 유출된 정보를 이용해 대출 신청·계좌 인출·추가 범죄까지 이어갑니다.
  • 피해자는 카드가 실제 발급된 줄 알고 불안해하며 대응하다가 개인정보를 스스로 넘기는 상황에 빠집니다.

👉 핵심은 “카드 발급·배송 전화를 받으면 무조건 의심하고, 공식 은행·카드사 고객센터에 직접 확인해야 한다”는 점입니다.


 

 

통장 묶기 사기

 

 

 

3️⃣ 대응 방법

 

  • 모르는 돈 입금 = 절대 사용 금지 → 사기꾼이 고의로 건 돈일 수 있습니다. 단 한 번이라도 인출하거나 사용하면 되돌리기 어려운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거래 내역·문자·통화 기록 즉시 캡처 → 나중에 증거가 없으면 피해 입증이 어려우므로, 입금 내역·발신 번호·메시지를 모두 저장해 두세요.
  • 은행·금감원·경찰 동시에 신고 → 금융감독원(☎1332)과 경찰청(☎112), 해당 은행 고객센터에 즉시 신고해야 빠르게 계좌 정지가 해제됩니다.
  • 수상한 전화는 무조건 끊기 → “본인 확인”, “계좌 보호”, “보안 앱 설치”라는 단어가 나오면 100% 사기 의심. 절대 응하지 말고 바로 끊으세요.
  • 링크·앱 설치 절대 금지 → 문자나 카톡으로 받은 링크를 클릭하거나 앱을 설치하면 개인정보 전체가 털릴 수 있습니다.
  • 사업자·자영업자라면? → 계좌 정지 시 매출·거래 피해가 바로 발생합니다. 신고와 동시에 은행에 ‘긴급 해제 절차’를 요청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.

 

👉 정리하자면, “모르는 돈은 건드리지 말고, 모든 증거를 확보한 뒤, 은행·금감원·경찰에 동시에 신고하는 것”이 최선의 대응입니다.


 

 

통장 묶기 사기통장 묶기 사기

 

💬 마무리

 

잠깐의 방심이 내 계좌 전체를 인질로 잡히는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.
‘정부 지원금’, ‘갑작스러운 입금’, ‘새 카드 발급’이라는 말이 나오면 반드시 의심하세요.


👉 아는 것이 곧 예방입니다. 오늘 주변에도 꼭 공유해주세요!

 

 

📌 괜히 빚 갚았나? 지금 논란 중인 '빚 탕감 정책' 정리!

 

📌 괜히 빚 갚았나? 지금 논란 중인 '빚 탕감 정책' 정리!

“7년만 버티면 탕감? 진짜 성실하게 갚은 내가 바보?”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와 뉴스에서 뜨거운 논란이 되고 있는 정책이 있습니다.바로 정부가 발표한 ‘5천만 원 이하 채무 탕감’ 정책인데

123.liberator100.com

 

반응형